2023. 11. 22.Shame and Git Gud
- Shame is a feeling of being unworthy, unlovable, and not good enough.
- Shame is a feeling of being a bad person.
- Shame is a feeling of being a failure.
- Shame is a feeling of being a fraud.
- Shame is a feeling of being a mistake.
- Shame is a feeling of being a burden.
- Shame is a feeling of being a disappointment.
- Shame is a feeling of being a reject.
- Shame is a feeling of being a loser.
- Shame is a feeling of being a quitter.
- Shame is a feeling of being a coward.
- Shame is a feeling of being a weakling.
- 위의 영문은 코파일럿이 쓰는 대로 냅둔 것. 괜찮아서 냅둠. 정말 끔찍한 감정이라 할 수 있겠다.
- 한국어로는 일단 '수치심'이라고 하자.
- 수치심을 심리학자들은 "The Master Emotion"이라 부른다고 한다.
- 모든 감정에 앞서는 가장 강력한 감정이라는 의미이기도 하고,
- 한 사람의 삶이 그 사람이 겪게 된 수치심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로 정의된다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.
- 반대로 생각하면, 그래서 수치심은 인간으로서 성숙하는 데 가장 강력한 동력이 되는 감정이기도.
- 사람은 수치심을 회피하기 위해 평생을 소모할 수도 있고,
- 받아들이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통해 성장할 수도 있다.
- 사실 모든 감정이 그런데, 이를테면
- 화는 우리가 경계를 더 잘 세우게 해주고,
- 슬픔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의 유대감을 더 깊게 만들어 준다면,
- 수치심은 올바른 행위를 유도하는 감정이라 할 수 있다고.
- 수치심을 느끼면, 사람은 무조건 그 상황을 회피하려고 하고,
- 회피 방법엔 두 가지가 있는데,
- 첫 번째는 같은 상황에서 수치를 당하지 않을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이고,
- 두 번째는 그런 상황이 발생할 만한 모든 경우의 수에서 도망치는 것이다.
- 진화적으로 생각할 때 수치심의 본래 기능은 첫 번째일 것이지만,
- 하지만 당연히 두 번째가 훨씬 쉽기 때문에 두 번째를 선택하게 되고, 그만큼 축소된 삶을 살게 된다.
- 그렇다면 수치심이 제 기능을 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- 수치심을 느낀 후에 그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,
- 거기에 자신을 다시 노출시키는 과정이 필요한데,
- 이를테면, 한 달 안으로 같은 상황에 처하도록 하면,
- 뇌는 앗 쉬 큰일 났다 어떻게 해야 하지? 모드가 되고,
- 사실상 이것보다 강력한 동기부여는 없다고 한다.
Ref.
2023. 11. 18.The Cult of Done Manifesto (번역)
역자(나): 좋은 말씀이 있어 전해보려고 번역합니다.
완료교의 구성원 여러분, 완료교 선언문을 공개합니다. Kio Stark과 함께 20분 동안 작성했습니다. 쓸 시간이 20분밖에 없었거든요.완료교 선언문
- 존재엔 세 가지 상태가 있다. 아직 모름, 실행중, 완료.
- 모든 것은 초안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여라. 완료에 도움이 된다.
- 수정 단계는 없다.
- 제대로 알고 하는 것과 안다 치고 하는 것은 거의 같다. 실행중이라면, 몰라도 아는 것이다. 이걸 받아들이고 계속 해라.
- '미룸'은 없다. 실행을 위해 일주일 이상 기다려야 한다면, 그 아이디어는 폐기다.
- 완료의 목적은 '완성'이 아니라 다른 일들의 완료다.
- 완료하면 버릴 수 있다.
- '완벽'은 노잼이다. 완료를 방해할 뿐이다.
- 손을 쉬고 있는 사람은 틀렸다. 실행이 옮음이다.
- 실패는 완료다. 실수도 완료다.
- 파괴도 완료의 한 형태다.
- 생각난 아이디어를 인터넷에 게시하면, 형체 없는 완료로 취급된다.
- 완료는 더 많은 완료의 원동력이다.
2023. 8. 16.Awareness
- Meditation을 쓴 게 6/8 이니까 본격적으로 명상을 시작한지 8주는 넉넉하게 지난 것 같다. 며칠은 빼먹었지만 거의 매일 20분 정도 하긴 했고 딱히 노력을 하지 않아도 매일 하게 된듯.
- 그러면서 중요하게 생각하게 된 것 중 하나가 "awareness".
- 한국말로 "알아차림"이라고 번역을 하는 것 같은데 뭔가 좀 번잡하고 필요 이상으로 구수한 번역인 것 같음...
- 풀어서 설명하자면 나를 관찰하는 인지 레이어를 하나 더 만드는 것.
- '음 기분이 별로군' 에 '음 내가 기분이 별로라고 느끼고 있군', 어떤 생각이 들 때 '이런 생각이 들고 있군' 이 추가되는 것.
- 명상의 골자이기도 함.
- "메타인지"의 한 형태이기도 할 것.
- 이런 인지 경험이 쌓이다 보면 뭔가를 느낀다고 그게 다 내가 아니고 어떤 생각이 든다고 그게 다 내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는 것 같다.
- 특히 나의 의지와 상관없이 '주입'된 감정이나 생각이 있다는 걸 인지하게 되는데 이게 좀 큰 것 같다.
- Pomodoro도 '능률'이 아니라 awareness 맥락에서 접근하면 뭔가를 하고 있는 나에 대한 awareness를 높이는 방법이 되는데,
- 5분의 시간이 작업중인 나에게서 거리두기/awareness를 강제하는 효과를 내기 때문에, 한편으론 25분의 집중 시간보다 5분의 break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2023. 7. 31.Media autoplay policy
- 어케어케 하다보니 여러 페이지에서 동영상을 동시에 재생시키는 뭔가를 만들어보고 있는데,
- 그러니까...
/control
에서/video/1
,/video/2
...의 재생 상태를 조작할 수 있어야 함. - 리얼타임으로 각 페이지에 시그널 보내는 건 뭐 firebase/supabase의 리얼타임 기능을 쓰던지 하면 되는데,
- 동영상 재생이 트리거 되려면 사용자가 이벤트를 발생시켜야 된다는 브라우저 정책이 있고,
muted
상태면 상관 없지만 사운드도 나와야 하는 상황이라 이거를 음... 클릭 이벤트를 트리거해야 되나? 그게 되나? 하다가- 찾아보니 크롬에선 pwa로 설치되었을 경우엔 허용을 해주고 있었다.
- 대응을 할 필요는 없는 상황이지만 사파리는? 하고 찾아보니 뭐가 나와 있진 않았는데,
- Safari 17의 'Add to Dock' 기능으로 테스트해보니 일단 재생되는 것 까진 확인.
2023. 7. 27.mind - consciousness spectrum
생각(mind)
의식(consciousness)
공황
"heartbreak"
"한 발 물러남"
몰입
- 생각과 의식은 다름.
- 머리속에 떠오르는 생각들이 다 '진짜 나' 혹은 나의 의식이라고 볼 수는 없는데,
- 생각이 의식 전체를 잡아먹은 상태인 정신증(망상장애 등)이 존재하기 때문.
- 대부분의 생활은 생각🠉 의식🠉 상태에서 하게 되고, 보통 둘이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룬 상태로 살아가게 되나, 대부분 생각이 과도하게 의식을 점유하고 있을 확률이 높음.
- 인생의 어떤 시점의 특정한 상실을 경험하고 비탄을 거쳐 한 발 물러나 다시 바라보게 되어 전환점을 경험하는 것이 매우 보편적인 것도 이 때문.
- 매우 긍정적인 상태로 여겨지는 몰입(flow)은 생각이 의식 정신활동을 방해하지 못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음.
- '생각과 거리두기' 연습을 의식적으로 할 필요가 있고, 이것 역시 명상의 효능(...).
Ref.
2023. 7. 18.같은 내용을 연달아서 보는 것 보다 중간에 잠을 자는 게 낫다
- 우리는 보통 뭔가 여러번 읽거나... 아무튼 지식에 반복적으로 노출해서 머리에 지식을 '쑤셔넣어야' 한다고 생각하지만,
- 뭔가를 '안다'는 걸 언제든 머리속에서 그걸 '인출'해 낼 수 있게 되는 상태라고 정의한다면,
- '인출'은 의식과 무의식이 동시에 작용하는 정신 활동.
- 예를 들어 '공부'할 때 지식이 저장되는 건 단기기억 공간이고, 장기기억 공간으론 잘 때 '옮겨짐'.
- 그래서 의식/무의식에 해당 지식이 'sink in' 하게 되려면 잠이 반드시 필요.
Ref.
2023. 7. 12.착하게 살자
- 중독 회복 12단계 프로그램 중 9단계를 지나면 이후 단계가 매우 수월해진다고.
- 9단계: (중독으로 인한 것이든 아니든) 자신이 저지른 잘못에 대해 당사자들에게 (해가 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) 사과/배상 하기.
- 왜냐면 그 과정을 통해서 의지력등 인지 자원이 대폭 늘어나기 때문.
- 반대 방향에서 보자면, 해결되지 않은 부채감/죄책감 등이 실제로 나의 뇌 리소스를 잡아먹는다는 것.
- 그리고 '아 이거 해야 되는데(못하고 있네)'도 같은 영향을 미친다고(스스로에게 느끼는 부채감).
- 이 경우 정말로 그것들을 '해버리던지' 아니면 해야 된다는 생각을 버리던지 둘 중 하나를 해서 '할당된 메모리를 해제' 해야 한다고.
- 그러니까 누군가에게 잘못한 후 사과를 안하고 있는 동안의 '내가 해야 될 것을 안하고 있다는 느낌', 사과를 했을 때 '후련해지는' 느낌이 단지 느낌만은 아닌 것.
- 도덕적/윤리적으로 사는 것은 보통 '칭찬할 만한 덕목' 같은 것으로 인식되지만 실제로 뇌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점 역시 대단히 인상적.
Ref
2023. 7. 8.Multi/Single Tenant
2023. 7. 7.25% Rule
25% Rule?
목표를 세울 때 최종 목표의 25%를 1차 목표로 잡는 것이 좋다고 한다.
How
그러니까 푸쉬업을 하루에 100개(물론 나는 이런 허황된 목표는 세우지 않지만) 하겠다! 가 목표라면,
- 당연히 그건 한 번에 될리가 없음.
- 그렇다고 하루에 1개는 좀 음... 한 것이 사실임.
- 그럼 어떻게 한담?
- 25%인 25개를 일단 1차 목표로 잡아보자.
- 25개도 힘들면 그것의 25%인 6-7개 정도로 해보자.
- 짠! 목표를 이뤘습니다!
- 다음 목표로 원래의 25개 혹은 x2 인 12-13개를 잡아보자.
- (계속)
Ref.
2023. 7. 7.Case Insensitive Sort
arr.sort((x, y) => x.toLowerCase().localeCompare(y.toLowerCase()))
// ^^^^^^^^^^^^^^^ 🤯
arr.sort((x, y) => x.toLowerCase().localeCompare(y.toLowerCase()))
// ^^^^^^^^^^^^^^^ 🤯